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100:0 교통사고, 대인보상 합의금 얼마나 받아야 하나(교통사고 합의금 예상표)

진단명별 교통사고 합의금 예상표

 

단, 아래 금액은 피해자의 직업, 나이, 과실 여부, 통원일수, 진단명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개인 경험 및 손해사정사, 블로그, 판례 기반 자료입니다)

(2025년 기준, 일반적인 통원 치료 기준)

경추염좌 (목 염좌) 2주 5~10회 30~80만 원
요추염좌 (허리 염좌) 2~3주 7~15회 50~120만 원
무릎 타박상 2주 5~7회 30~70만 원
어깨 염좌 3주 10~20회 80~150만 원
턱 관절 염좌 3~4주 15~25회 120~200만 원
팔/손목 염좌 2~3주 7~15회 50~100만 원
좌측 또는 우측 슬관절염 (무릎 통증) 4주 15~20회 120~200만 원
손목 골절 (비수술) 5~6주 입원 또는 집중치료 250~500만 원
쇄골 골절 (수술 有) 6~8주 입원 + 재활치료 600~1,200만 원
요추간판 탈출증 (디스크) 4~6주 장기치료 시 200~600만 원
경추간판 탈출증 6주 이상 20회 이상 300~800만 원
안와골절 / 얼굴 골절 6~8주 수술 포함 시 800~1,500만 원
늑골골절 (갈비뼈) 4주 입원 포함 150~300만 원
발목 인대 파열 (수술 無) 4주 15~20회 150~300만 원
발목 인대 파열 (수술 有) 6~8주 수술 + 입원 500~900만 원
척추 압박 골절 8~12주 입원 + 재활치료 1,000만 원~2,000만 원
후유장해 (노동력 상실 등) - - 2,000만 원~1억 이상

📌 참고사항

  • 진단 주수가 길수록, 치료 회차가 많을수록 합의금이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 단순 염좌(근육 뭉침 등)는 고정된 위자료(50만 원 내외) + 통원비 + 치료비가 합의 기준입니다.
  • 수술 여부, 입원 유무, 장해 여부는 큰 보상 차이를 만듭니다.
  • 노동력 상실률을 입증할 경우, 후유장해로 인정되어 별도 계산 방식 적용됩니다.


💡 합의금 올리는 실전 팁

  1. 진단서는 교통사고용으로 정확히 발급받기
  2. 의사 소견서에 "통증 지속", "기능 제한" 표현이 중요
  3. 통원일수를 줄이지 말고 정해진 치료는 끝까지 받기
  4. 소득이 있다면 휴업손해 입증서류(급여명세서, 사업자등록증 등) 제출
  5. 합의 전에 손해사정사나 교통사고 전문 변호사 상담 받기 (무료도 많음)

대인 보상: 부상 정도별 합의금 실제 사례

 

단, 아래 금액은 피해자의 직업, 나이, 과실 여부, 통원일수, 진단명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개인 경험 및 손해사정사, 블로그, 판례 기반 자료입니다)


🩹 1. 경미한 부상 (진단 2주 이내, 목 통증 등)

  • 사례1: 경추염좌, 요추염좌(목·허리 염좌), 통원 7일
  • 합의금: 약 30~70만 원
  • 사례2: 진단 2주, 통원 10회 + 약물치료
  • 합의금: 약 100만 원 전후

💡 : 합의 전에 ‘물리치료’, ‘도수치료’, ‘진단서 발급’ 꼭 챙기세요.
합의금을 올리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 2. 중간 수준의 부상 (진단 3~4주, 일상생활 불편)

  • 사례1: 진단 3주, 교통사고로 인한 추간판 이상 소견, 15회 통원치료
  • 합의금: 약 150~300만 원
  • 사례2: 염좌 외 근육손상, 진단 4주, 도수치료 + 물리치료 병행
  • 합의금: 약 300~500만 원

🧠 보험사는 통원치료 일수 × 평균 위자료로 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하루 2~3만 원 × 통원일수 + 위자료 + 교통비 + 일실수익 등

 


🦴 3. 골절, 파열 등 중증 부상 (진단 6주 이상)

  • 사례1: 팔 골절, 깁스 5주, 수술 無
  • 합의금: 약 600~1,000만 원
  • 사례2: 쇄골 골절, 수술 및 핀 고정, 물리치료 3개월
  • 합의금: 약 1,200~1,800만 원

수술 여부, 깁스 기간, 재활치료 기록, 일 못한 기간(휴업손해) 중요합니다.
수술을 한 경우는 추가 위자료와 향후 치료비가 포함됩니다.

 


♿ 4. 후유장해 인정 (예: 신체 기능 제한)

  • 사례1: 교통사고 후 후유장해 판정(목 디스크, 움직임 제한)
  • 합의금: 약 2,000만 원~5,000만 원 이상
  • 사례2: 하반신 마비에 따른 장해등급 판정
  • 합의금: 수천만 원~수억 원 (장해율에 따라 다름)

⚖️ 이 경우 장해진단서, 노동능력상실률, 평균 임금 등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손해사정사나 변호사의 전문 계산이 필요합니다.


📌 대인보상 합의금 구성 항목


위자료 부상 정도에 따른 정신적 고통 보상 (진단주수 기준)
치료비 병원 진료, MRI, 약물, 도수치료 등 실비
교통비 통원 치료 시 왕복 교통비 (일 5,000~1만 원 인정)
휴업손해 일 못한 기간에 대한 보상 (직장인/프리랜서 중요)
후유장해 장해진단서 기준, 노동능력 상실률 반영
간병비 입원 기간 중 보호자 비용 등 (중증시 해당)

💡 전문가 팁: 합의 전 꼭 체크할 것

  1. 치료 끝나기 전 합의는 절대 NO!
  2. 진단서, 통원기록, 치료비 영수증은 철저히 보관
  3. 보험사와 협상 시 손해사정사 상담 받아보기
  4. 소액 사고라도 블랙박스 영상은 필수 증거

https://silverooge.tistory.com/139

 

후방추돌 사고 났다면 이 글부터 보세요! 보험사도 당황하는 꿀팁 총정리

자동차 후방추돌 사고 수습 및 보상 절차 총정리예상치 못한 순간, 갑작스러운 ‘쿵’ 소리와 함께 찾아오는 후방추돌 사고.당신이 멈춰 있는 상황에서 뒤에서 누군가가 들이받았다면 당황하기

silverooge.com